중국 외교부가 베이징 주재 한국·일본 외교관과 각각 만나 상반된 메시지를 전달했다. 류진쑹(刘进松, Liu Jinsong) 아주사장은 김한규 주중 한국대사대리와 회동해 특사 파견 문제를 포함한 양국 주요 사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14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전날 만남은 일상적인 한중 외교 접촉의 일환으로, 양측은 다양한 현안을 폭넓게 논의했다. 구체적 합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외교 소식통들은 특사 파견을 비롯해 양국 관계의 민감한 이슈들이 거론된 것으로 전했다. 반면 류 사장은 같은 날 요코치 아키라 일본대사관 수석공사를 ‘웨젠’ 형식으로 불러 역사, 대만, 재일 중국인 안전 문제에 대해 엄중한 우려를 전달했다. ‘웨젠’은 중국이 외국 외교관을 불러 항의를 표시하는 절차로, ‘자오젠’보다 수위는 낮지만 한국 외교 용어로는 ‘초치’에 해당한다. 중국의 항의 배경에는 린자룽 대만 외교부장의 일본 방문과 일본 내 중국인 폭행 사건이 있다. 린 장관은 지난달 일본에서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담당상을 만나 대만-일본 관계 강화를 논의한 바 있다. 이는 일본과 공식 외교 관계가 없는 대만 외교부장의 방일이 공개된 드문 사례다. 또한 지난달 31일 도쿄에
[더지엠뉴스] 중국 정부가 대만 문제에 항의하기 위해 주중 한국·일본 공사를 22일 웨젠(한국 외교 용어는 초치)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홈페이지에 ‘류진쑹 외교부 아주사장)이 주중 일본대사관 아키라 요코치 수석공사와 주중 한국대사관 김한규 공사를 각각 (웨젠·회견을 약정하고 만나·중국 외교 용어) 중일한 협력 관련 사무에 관해 심도 있게 의견을 교환했다’면서 ‘대만 문제에 관해 중국의 엄정한 입장도 표명했다’고 밝혔다. ‘웨젠’은 중국 외교부가 중국 주재 타국 외교관을 외교부로 부르거나 별도의 장소에서 만나 항의 등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강경한 뜻을 내포한 자오젠(불러서 만나다)에 비해선 수위가 낮지만, 초치에 해당한다. 중국 외교부는 ‘엄정한 입장’이 무엇인지 밝히지는 않았다. 다만 지난 20일 라이칭더 대만 총통 취임식에 한국과 일본 정치권 인사가 참석한 것과 관련됐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하고 있으며, 대만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