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외교 고위 당국자가 이집트, 오만 외무장관과 연쇄 전화 회담을 갖고, 이스라엘의 군사 행동이 국제법 위반임을 명확히 지적하며 즉각적인 휴전을 촉구했다. 19일 중국 외교부 발표에 따르면, 왕이(王毅, Wang Yi)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은 전날 바드르 압델아티(Badr Abdelatty) 이집트 외무장관, 바르드 빈 하마드 알부사이디(Badr bin Hamad Albusaidi) 오만 외무장관과 각각 통화를 진행했다. 왕 주임은 알부사이디 장관과 통화에서 "현 사태의 옳고 그름은 명확하다"며 "이스라엘의 행동은 국제법과 국제관계 기본 원칙을 정면으로 위반하고, 이란의 주권과 안보를 침해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충돌로 인해 어렵게 추진된 이란 핵 문제 간접 협상이 중단됐으며, 오만이 투입해 온 외교적 노력이 수포로 돌아갔다"고 지적했다. 왕 주임은 무엇보다 "휴전 실현이 시급하다"며 "휴전이 하루라도 빨리 이루어져야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중동 정세가 더 깊은 혼란으로 빠지는 상황을 좌시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앞서 압델아티 이집트 외무장관과의 통화에서는 "이스라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중국이 유럽과 중남미, 동아시아에 이어 중동까지 무비자 입국 대상을 확장하며 외교 전략에 새로운 전환을 시도했다. 28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닝(毛宁, Mao Ning)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오는 6월 9일부터 1년간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쿠웨이트, 바레인 4개국 일반여권 소지자에 대해 비자 없이 중국 입국을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에 따라 이들 4개국 국민은 비즈니스, 여행, 관광, 친지 방문, 교류, 경유 등 다양한 목적의 방문 시 30일 이내 체류가 가능하다. 이는 기존에 무비자 협정을 체결한 아랍에미리트와 카타르에 이어 걸프협력회의(GCC, Gulf Cooperation Council) 소속 6개국 전체에 대해 무비자 체제를 완성한 것이다. 중국은 이미 지난해 11월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네덜란드 등 유럽 5개국과 말레이시아에 일방적 비자 면제 조치를 취했다. 그 직후엔 한국과 유럽 8개국, 일본 등에도 같은 방침을 잇따라 적용하며 전통적인 서방 동맹국들과의 인적 교류를 대폭 확대해왔다. 최근엔 중남미 5개국까지 비자 면제 대상에 포함시켰다. 외교가 안팎에선 이번 일련의 개방 조치에 대해, 중국
[더지엠뉴스]중국 외교부는 23일 정례 브리핑에서 관세전쟁, 금번 왕이 외교부장의 외교일정, 중미 협상, 이란·아제르바이잔·브릭스 협력 등 주요 국제 이슈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브리핑에 나선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먼저 왕이 외교부장이 오는 25일부터 카자흐스탄에서 열리는 중국-중앙아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하고, 이어 브라질에서 브릭스 외교장관회의 및 안보회의까지 잇달아 참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중국과 중앙아시아 간 정치 신뢰를 다지고 ‘제2차 중국-중앙아 정상회의’를 위한 정치적 준비라는 점에서 중요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언급한 ‘대중 관세 인하 가능성’ 및 ‘협상 여지’ 발언에 대한 질문도 나왔다. 이에 대해 궈 대변인은 “관세전쟁에는 승자가 없다. 우리는 싸우고 싶지 않지만 싸우는 상황이면 반드시 끝까지 간다”며, 미국이 협상을 원한다면 “위협과 공갈부터 중단해야 한다”고 강경하게 맞섰다. 특히 그는 “한편으로 협상을 말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극한 압박을 가하는 방식은 중국과의 올바른 교류법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번 브릭스 외교장관회의에 대해선 “인도네시아를 포함해 9개 파트너 국가가 참여하는 첫 외교장관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