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중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8%로 상향 조정했다. 올해 상반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돈 데다, 미중 간 관세 인하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30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IMF는 ‘세계경제전망’(WEO) 수정 보고서를 통해 2025년 중국 성장률을 4.8%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4월 전망치보다 0.8%포인트 높은 수치다. 보고서는 “2025년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시장 예상을 상회했고, 미중 간 관세가 큰 폭으로 인하된 것이 직접적 상승 요인”이라고 밝혔다. 특히 1분기 실적만으로도 연간 성장률이 기계적으로 0.6%포인트 상향되는 효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IMF는 수출 호조가 성장률을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위안화가 달러에 연동돼 절하된 영향으로 미국을 제외한 다른 시장으로의 수출이 크게 증가했으며, 정부의 재정 정책 덕분에 소비도 일정 부분 기여했다고 덧붙였다. 2026년 중국의 성장률도 0.2%포인트 오른 4.2%로 조정됐다. 같은 보고서에서 IMF는 2025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3.0%, 2026년은 3.1%로 전망했다. 이는 4월 전망 대비 각각 0.2, 0.1%포인트 상향된 수치다. IMF는 이러한 조
[더지엠뉴스]중국 경제가 미국과의 무역 갈등이 재점화된 가운데서도 예상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16일 발표된 중국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31조8천758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했다. 이는 로이터와 블룸버그가 각각 예상한 5.1%와 5.2%를 상회한 수치이며, 지난해 4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한 것이다. 중국은 올해도 ‘5% 안팎’의 성장 목표를 설정하고, 내수 확대를 경제 정책의 핵심으로 삼았다. 국가통계국은 소비 진작 정책의 지속적인 효과로 소매판매가 4.6% 상승했다고 밝혔다. 특히 3월의 소매판매는 5.9% 증가해 1∼2월 수치(4.0%)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으며, 로이터 전망치인 4.2%도 웃돌았다. 산업생산 역시 6.5% 증가했으며, 3월 한 달만 놓고 보면 7.7% 상승해 시장 기대치를 크게 초과했다. 성장을 이끈 주요 품목은 신에너지차(45.4%), 3D 프린팅 장비(44.9%), 공업용 로봇(26.0%) 등으로, 첨단산업 분야가 중심을 이뤘다. 고정자산 투자는 4.2% 증가했지만, 부동산 개발 투자는 9.9% 줄며 부동산 경기 침체는 계속됐다.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