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대림역 앞 도심에서 주민들이 ‘혐오 선동 중단’을 요구하며 서로의 삶을 지키자는 목소리를 모았다. 둘러선 행렬 속 중국 동포들이 스스로 확성기를 잡고 아이들과 일터의 일상을 지키겠다고 밝힌 오늘, 광장은 연대의 구호로 채워졌다. 오마이뉴스에 따르면, 서울 영등포 대림역 5번 출구 앞에서 이주인권단체와 시민들이 모여 ‘혐오의 사슬은 대림동에서 끊자’는 현수막을 펼쳤다. 현장에는 100여 개 단체의 활동가와 주민이 모였고 발언대에는 학부모이자 중국 동포가 올라 아이들 앞에서 차별을 허락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도림천을 사이에 둔 맞은편에서는 극우 단체의 집회가 진행됐고, 참가자들은 이를 두고 연대의 만세를 외치자며 평온한 질서를 유지했다. 구로·영등포 일대에서 생활하는 교사와 상인은 아이들이 배우는 교실과 상권의 일상에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집회가 특정 지역을 겨냥하지 말아야 한다고 요청했다. 중국 동포 상인회 대표는 대림동이 땀으로 일군 생활 터전임을 강조하며 혐오가 상권을 위축시킨 사례를 들었다. 전국동포총연합회는 이주민과 동포를 겨냥한 차별 선동 중단, 정부·지자체의 안전 보장과 인권 보호, 언론의 사실 보도를 요구사항으로 제시했다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더본코리아 백종원 대표가 유튜브 영상에서 예산시장 리모델링 무산 책임을 상인들에게 돌리자, 당사자인 상인들이 “사실을 왜곡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2일 경향신문에 따르면, 역전시장 상인들은 명예가 훼손됐고 협의 절차조차 없었다고 주장하며 공개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 논란의 발단은 지난해 12월 공개된 ‘예산시장 연말결산’ 영상이었다. 영상에서 백 대표는 장터광장 공사를 마치고 역전시장도 리모델링할 계획이었지만, “일부 상인들의 욕심 때문에 무산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상인들은 이런 설명이 실제 상황과 전혀 다르다고 반박했다. 김순규 상인회장은 “점포를 비워달라는 요구는 있었지만, 보상은 전혀 없었고, 리모델링 후 재입점이 보장되지 않는 조건이었다”며 “상인들의 생존권은 고려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상인들에 따르면, 더본코리아는 장터광장 리모델링을 위한 임시조치로 역전시장 1층 20여 개 점포의 비움을 요청했으나, 재입점 대상은 “젊은 신규 상인” 위주라는 발언이 있어 기존 상인을 내쫓으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반발이 일었다. 또한 재입점을 위해 가산점 제도를 도입하겠다는 설명도 있었지만, 상인들은 “심사 대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