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7월 경제 지표가 첨단 제조업과 신산업 성장세를 뚜렷이 보여주며 연간 성장 목표 달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산업 로봇·드론·스마트 장비 등 혁신 산업이 급성장했고, 서비스업과 수출도 확대세를 이어갔다. 16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7월 규모 이상 산업 부가가치는 전년 동월 대비 5.7% 증가했다. 특히 첨단 제조업은 9.3%, 장비 제조업은 8.4% 늘었다. 무인항공기 제조는 80% 급증했고, 차량용 스마트 장비는 21% 증가했다. 산업 로봇 생산량은 24%, 민간용 드론은 18.9% 늘어 지능형 제품 수요 확대를 반영했다. 푸링후이 대변인은 혁신과 산업 융합을 통해 고급화·지능화·친환경 전환을 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8일부터 베이징에서 열린 세계로봇대회와 세계휴머노이드로봇대회에는 16개국 500여 대의 휴머노이드 로봇이 참가해 첨단 제조 경쟁력을 부각시켰다. 내수도 꾸준히 회복세다. 1~7월 사회소비재 소매총액은 3조8,780억 위안(약 540조 원)으로 3.7%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5.8% 올랐고, 정보전송·소프트웨어·IT 서비스는 11.9% 증가했다. 가전제품 교체 촉진 정책으로 가전 소매액은 30.4%
8K 전방위 영상 촬영과 몰입형 조종을 결합한 글로벌 최초 전방위 드론 ‘Antigravity A1’이 공개됐다. 15일 상하이증권보에 따르면, A1은 상하단 이중 전방위 렌즈와 VR 비행 안경, 체감형 조종기를 탑재해 초보자도 360도 시야를 즐기며 손짓 방향대로 비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제작사인 잉스촹신(影石创新, YingShi Chuangxin)에 따르면, A1은 비행과 촬영 시야를 분리해 사용자가 기체 진행 방향과 무관하게 머리를 돌려 원하는 장면을 담을 수 있다. 무게는 249g에 불과하며, 시각 기반 장애물 회피·자동 기어 시스템·위반 개조 방지 기능을 갖췄다. 또한 촬영 후 스마트폰·PC 앱에서 무손실로 재구성해 다양한 화면 비율과 구도로 편집할 수 있어 SNS용 콘텐츠 제작 효율을 높였다. A1은 현재 브랜드 홈페이지를 통해 글로벌 베타 체험 신청을 받고 있으며, 내년 1월 공식 출시 예정이다. 잉스촹신은 이번 제품을 통해 단순한 사양 경쟁이 아닌 ‘비행 방식의 혁신’을 시장에 제시하겠다는 방침이다.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 연구진이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 대비 에너지 밀도와 성능을 2~3배 향상시킨 새로운 금속 리튬 배터리 기술을 공개했다. 14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톈진대학(天津大学, Tianjin University) 재료학원 후원빈(侯雯斌, Hou Wenbin) 교수팀은 전해액 ‘비편재화(離域化)’ 설계 개념을 도입해 에너지 밀도 600Wh/kg 이상인 소프트팩 셀과 480Wh/kg 모듈을 제작, 이를 전날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했다. 통신은 해당 지표가 현재 상용 리튬 이온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와 주행 성능을 직접적으로 2~3배 끌어올린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금속 리튬 배터리는 차세대 전원 기술로 주목받았으나, 기존 전해액 구조에서는 고출력과 장수명을 동시에 확보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의 성과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현재 연구팀은 국가 에너지 저장 기술 산학융합 혁신플랫폼과 귀금속 기능재료 전국중점실험실 등 국가급 인프라를 기반으로 상용화와 검증 작업을 진행 중이다. 시험 생산라인에서는 이미 중국 무인기에 적용해 항속 시간을 2.8배 연장하는 성과를 거뒀으며, 올해 하반기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의 대형 제조업체들이 4월에도 수익 성장을 이어가며 산업 전반의 회복세를 뚜렷이 나타냈다. 특히 반도체, 스마트 자동차, 드론 등 첨단 기술 산업이 수익률을 크게 끌어올리며 구조적 전환의 성과를 입증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2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4월 한 달간 중국 내 주요 산업 기업들의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하며 안정적인 회복세를 이어갔다. 1월부터 4월까지 누적 수익 증가율은 1.4%로 집계돼 1분기 대비 0.6%포인트 빨라졌으며, 전체 41개 산업 중 23개 업종이 순이익 증가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고기술 제조업은 1~4월 동안 수익이 9.0% 급증하며 일반 제조업 평균을 훨씬 웃도는 성장을 보였다. 바이오의약, 항공기 제조, 반도체 장비 등 전략 산업이 성장을 주도했으며, 국가 차원의 ‘AI 플러스’ 정책과 디지털 전환 전략이 이같은 흐름을 견인했다. 특히 반도체 특수 장비 부문은 105.1%의 폭발적 수익 성장을 보였고, 전자회로(43.1%)와 집적회로(42.2%)도 크게 증가했다. 스마트 자동차 장비는 177.4%의 이익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드론 제조(167.9%)와 웨어러블 기기(80.9%
[더지엠뉴스] 올해 상반기 중국에서 신규 등록된 드론이 60만 대를 넘어섰다고 중국 정부가 밝혔다. 총 드론 수는 작년 연말 대비 48% 늘었다. 11일 중국 국무원에 따르면 현재까지 1만 4000개 이상 드론 업체가 현행의 유효한 민간용 무인 항공기 운영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고 22만 5000명 이상이 드론 조종사 자격증을 얻었다. 쑹즈융(宋志勇) 중국 민항국장은 브리핑에서 “이 수치로 볼 때 중국의 저공경제가 빠른 성장의 새 단계로 접어들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민항국은 운항 적합성 심사 시스템과 능력 건설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전통적인 유인 항공기의 운항 적합성 심사 작업을 꾸준히 추진하며 드론 관련 기술 규범과 표준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부연했다.
[더지엠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국빈 방문을 계기로 세르비아가 중국의 첨단 무기 판매의 파트너로 격상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럴 경우 해당 지역권에서 상대적으로 미국의 힘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1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분석가들을 인용, "시 주석의 세르비아 방문으로 양국 간 첨단 무기(협력) 관계가 강화될 것“이라며 ”또 발칸 반도에서 첨단 무기 판매를 위한 중국과 미국 간의 ‘영향력 경쟁’이 격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시 주석은 알렉산다르 부치치 세르비아 대통령과 회담·공동성명에서 △‘신질 생산력’ 공동 개발 △첨단산업 협력 프로젝트 공동 구축 △우주과학 기술 협력 강화 △테러와의 전쟁 협력 등에 합의했다. 주목할 점은 세르비아가 무인항공기(드론·UAV)와 미사일 방어 시스템 등 첨단무기 시스템 조달 분야에서 중국과 군사적 유대를 강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유럽 국가 중 유일하게 중국산 무기를 운용하는 세르비아는 옛 소련(러시아) 기술을 기반으로 한 군대를 운영 중이지만 최근 들어서는 중국으로부터 무인기와 미사일 방어 시스템 구매가 늘어나고 있다. 중국은 2020년 중국산 CH-92A 전투 드론 6대와 FT-8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