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증시의 ‘황제주’라 불리는 구이저우 마오타이가 다시 한 번 실적 성장세를 입증했다. 올해 상반기, 경기 변동 속에서도 450억 위안을 웃도는 순이익을 올리며 고급 백주 시장의 절대 강자로서 존재감을 각인시켰다. 13일 중국 증시에 따르면, 구이저우 마오타이(600519)는 전날 발표한 2025년 반기보고서에서 상반기 매출 893억8900만 위안, 전년 대비 9.1% 증가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454억3000만 위안으로 8.89% 늘었다. 상반기 마오타이주 원주 생산량은 약 4만3700톤, 시리즈주 원주 생산량은 약 2만9600톤이었다. 각 생산 라운드의 원주는 해당 특성을 충족했으며, 품질 지표는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구이저우마오타이가 브랜드 상징인 ‘오성(五星) 상표’ 도입 70주년을 기념해 초고가 한정판을 선보였다. 8일 오전 9시 ‘i마오타이’ 플랫폼에서 출시된 ‘구이저우마오타이주(오성 상표 70주년 기념)’는 병당 7000위안(약 131만 원)임에도 즉시 매진됐다. 총 2만5568병 한정 생산됐으며, 각 병에는 1954년 5월 1일부터 2024년 4월 30일까지의 날짜가 고유 번호로 부여됐다. 일부 인기 연도·숫자 조합은 발매 직후 수초 만에 완판됐다. 이번 제품은 1954년 첫 상표 ‘금륜(金轮)’에서 유래한 오성 디자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유리 재질 ‘삼절병’ 형태로 복원했다. 마오타이는 ‘하루 한 병’이라는 상징성으로 개인 맞춤형 기념품 성격을 강조했고, 희소성과 개별성 덕분에 수집가와 ‘황뉴(黃牛·중고 판매상)’의 사전 매입 대상이 됐다. 업계는 특정 길일(吉日) 번호가 향후 높은 프리미엄을 형성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마오타이의 주력 제품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이번 한정판 전략이 단순 매출을 넘어 ‘시간의 화폐화’를 통한 브랜드 고급화 시도의 일환이라고 분석한다. 회사는 올해 들어 뱀띠 기념주,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대표 백주(白酒) 브랜드 마오타이(茅台)가 최근 수요 둔화와 가격 하락 여파로 유통업체들의 큰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17일 중국 주요 플랫폼과 언론에 따르면, 중고 마오타이 회수 가격이 지난 한 달 새 급격히 떨어지면서 일부 회수상은 “벤츠 한 대 값에 해당하는 손실을 입었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특히 2023년산 마오타이 53도 제품의 회수가는 지난달까지만 해도 3,200위안 수준을 유지했지만, 최근 들어 2,600위안 선까지 하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수요 감소와 함께 일부 대형 유통업체들의 재고 처분이 맞물리며, 시장 전반의 가격 붕괴를 초래한 것으로 보인다. 마오타이는 과거 ‘가격은 절대 떨어지지 않는 황금주’로 불리며 투자 목적의 구매가 활발했으나, 최근 들어 브랜드 가치에 대한 회의론과 소비 트렌드 변화가 겹치면서 그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마오타이는 이미 중산층의 선택지가 아니다”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고가 백주에 대한 피로감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한편, 마오타이 본사인 구이저우마오타이(贵州茅台, Kweichow Moutai) 주가는 최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중국 최고가 백주로 통하던 ‘비천마오타이(飞天茅台)’의 도매가격이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유통가 하락과 함께 주가도 1500위안 선이 무너졌고, 연이은 실적 하향 조정까지 겹치며 ‘마법’이 풀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11일 《지에먄신원(界面新闻)》 보도에 따르면, 2025년산 53도 비천마오타이 낱병 도매가격은 1990위안(약 36만 원), 원박스 기준은 2080위안(약 37만 원)까지 떨어졌다. 베이징 시내 한 소매점 업주는 “일부는 1940위안에도 회수하고 있다”며 “최근 며칠 사이 가격이 급격히 내려갔고, 연초 대비 확실히 저렴해졌다”고 전했다. 구이저우마오타이는 현재 일부 직영 경로에서 500ml 제품 공급을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까지 비행기를 타면 1499위안에 구매할 수 있는 프로모션도 시행됐지만, 앱 업그레이드로 일시 중단된 상태다. 마오타이 측은 “백주 소비 비수기와 정책 환경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하며, 현재는 가격 흐름을 예의주시하며 구조적 조정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마오타이는 최근 5월 말 기준 누적 331만여 주, 총 50억 위안 이상을 자사주 매입에 투입한 상태다. 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