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라이다 기업들이 자동차 중심에서 벗어나 로봇 시장을 새로운 성장 무대로 삼고 있다. 잔디깎이와 물류 로봇을 비롯한 응용 분야가 급부상하며 출하량은 수십만 대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22일 제일재경에 따르면, 로보센스(RoboSense)의 2분기 보고서에서 ADAS용 라이다 판매량은 12만 3,800대로 여전히 주력 부문이었으나 증가율은 4.6%에 머물렀다. 반면 로봇과 기타 응용 제품 판매량은 3만 4,4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631.9% 늘었고, 매출은 1억 4,700만 위안(약 2,787억 원)에 달해 ADAS 부문의 절반을 넘어섰다. 헤사이테크놀로지(Hesai Technology)도 같은 분기 ADAS용 라이다 출하량이 30만 3,600대로 전년 대비 275.8% 증가했으며, 로봇용 제품은 4만 8,500대로 743.6% 성장했다. 일부 완성차 기업이 라이다 대신 카메라 기반 솔루션을 채택하면서, 제조업체들은 로보택시 외에도 정원·물류 로봇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로보센스는 쿠마테크놀로지와 120만 대 규모의 잔디깎이 로봇 계약을 체결했으며, 메이투안(Meituan), 네올리틱(Neolithic), 화이트라이노(Whi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2025년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경기 대회가 베이징 국립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에서 막을 올리며 각국의 로봇들이 첫 격돌에 나섰다. 위슈테크놀로지는 춘절 갈라에 등장했던 H1 로봇으로 육상 두 종목을 석권했고, 완전 자율주행으로 주목받은 티엔공은 은메달을 차지했다. 16일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전날 열린 1500m 경주에서 위슈테크놀로지 팀의 H1 로봇이 6분 34초로 우승했다. 이어 400m 결승에서는 상하이 가오이테크놀로지의 H1 로봇이 1분 28.03초로 또 다른 금메달을 가져갔다. 티엔주오와 티엔자오 팀은 티엔공 로봇을 앞세워 각각 2위와 3위에 올랐다. 티엔공은 UBTECH와 베이징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센터가 공동 개발한 로봇으로, 원격 제어 없이 자율적으로 경기를 완주해 눈길을 끌었다. 위슈테크놀로지 왕싱싱 CEO는 인터뷰에서 이번 성과가 당연한 결과라면서도, 전략상 리모컨을 사용했을 뿐 H1 역시 자율 주행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더욱 안정적인 AI 모델이 필요하다며 ChatGPT 같은 임계 수준의 모델 개발이 최대 과제라고 강조했다. 대회는 육상뿐 아니라 농구, 무술, 그룹 댄스 등 다양한 종목으로 구성됐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로봇산업이 향후 4년 내 시장 규모를 두 배 이상 키우며 세계 시장 지배력을 한층 강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8일 중국 경제매체들에 따르면,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중국 로봇시장이 연평균 23%의 고성장세를 이어가며, 2024년 470억달러(약 65조 원)에서 2028년 1080억달러(약 150조 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모건스탠리는 보고서에서 "중국은 세계 최대 로봇 시장일 뿐 아니라, 차세대 로봇기술의 글로벌 혁신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5월 산업용 로봇 생산량은 전년 대비 35.5% 증가한 6만9056대를 기록했다. 서비스 로봇 생산량도 13.8% 증가해 120만 대에 달했다. 중국 정부가 추진하는 '중국제조2025' 전략에서 로봇산업은 핵심 분야로 꼽힌다. 지난해 중국은 글로벌 산업용 로봇 신규 설치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이미 세계 시장에서 절대적인 위치를 확보했다. 현재 중국에는 74만 1700여 개의 로봇 관련 기업이 활동 중이다. 선두기업으로는 홍콩 증시에 상장된 선전의 유비쿼터스테크놀로지(优必选科技, UBTE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