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세탁 후 평범한 옷에서 시작된 감염이 인체 피부 속을 파고들며 움직이는 충격적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아프리카와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퍼지는 ‘피내구더기증’이 여행자와 거주자 모두에게 위협이 되고 있다. 4일 사이언스(Science)에 따르면,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 연구팀은 열대우림 지역의 룬드파리 유충 감염이 최근 급증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연구를 이끈 토니 골드버그 교수는 현지 조사 과정에서 직접 감염을 경험하며, “겨드랑이 아래에서 이물감과 통증을 느꼈고, 그 속에서 살아 있는 유충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룬드파리 유충은 갈고리형 입을 이용해 숙주의 살을 파고들며 성장한다. 감염 부위에서는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과 함께 부종·염증·괴사가 이어지고, 심한 경우 패혈증으로 번질 수 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나 기저질환자가 감염될 경우 위험성이 높다. 감염 경로는 세탁물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룬드파리는 습하고 어두운 환경에 알을 낳는데, 마르지 않은 빨래나 이불·베개가 이상적인 산란처가 된다. 교수는 “의류와 침구를 완전히 말린 뒤 열을 가해 다림질해야 유충의 생존을 차단할 수 있다”며, “베개를 다림질하지 않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서울 서초구의 한 김밥 전문점에서 식사를 한 손님들이 무더기로 복통과 고열 등 식중독 증상을 보이면서 보건당국이 긴급 조사에 나섰다. 12일 서초구청에 따르면, 해당 김밥집은 방배동에 위치한 곳으로, 지난 9일부터 손님들 사이에서 설사와 구토 증세가 나타났다는 민원이 연이어 접수됐다. 현재까지 확인된 증상자는 130명 이상이며,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병원 치료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김밥집은 문제 발생 하루 전인 8일부터 자진 휴업에 들어간 상태다. 그러나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는 이 매장이 이미 '폐업 수순에 들어갔다'는 글들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서초구 보건소는 즉각 현장 조사에 착수하고, 환자들이 섭취한 음식물 샘플을 확보해 정밀 검사를 의뢰했다. 관계자는 “증상자들의 진술과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 업소에 대한 행정처분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구청은 아직까지 원인균이나 명확한 발병 경로를 특정하지 못한 상태지만, 보관 상태 불량이나 조리 과정에서의 위생 문제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사고와 관련해 보건당국은 같은 날 해당 업소에서 식사를 한 이력이 있는 시민들에게도 증상이 의심
								[더지엠뉴스] 20대 여성이 속옷만 입고 잠을 자다가 생식기 감염으로 9개월 동안 극심한 고통을 겪은 사연이 알려졌다. 영국 매체 ‘더 선’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 거주하는 26세 여성 카엘라 벳시는 속옷만 입고 잠을 잔 다음 날, 질 주변에 작은 상처를 발견했다. 그는 자연스럽게 치유될 것이라 생각했지만, 며칠 후 극심한 통증과 발열 증상을 경험했다. 카엘라는 "너무 아파서 다리를 오므릴 수도 없었다"며 병원을 찾았고, 항생제를 처방받아 복용했다. 그러나 증상은 악화되었고, 앉거나 서는 것조차 힘들 정도로 고통스러웠다고 전했다. 병원 검사 결과, 약 5cm 크기의 바르톨린 낭종이 형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질 입구 주변 바르톨린샘의 분비관이 막혀 고름이 차는 질환이다. 의료진은 낭종이 자연적으로 터져야 한다며 항생제 치료를 진행했고, 3일 후 낭종이 터지면서 통증이 완화되었다. 카엘라는 나흘간 입원 후 퇴원했지만, 3개월 후 상처가 감염되면서 다시 병원을 찾아야 했다. 그는 “속옷 하나 때문에 9개월 동안 엄청난 고통을 겪었다”며, 앞으로는 속옷을 입고 자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꽉 끼는 속옷이 덥고 습한 환경을 조성해 박테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