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인민은행은 연휴 전 마지막 영업일에 공고를 내고, 은행권 유동성 안정을 위해 10월 9일 1조1천억 위안(약 219조 원) 규모의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운영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운영 기간은 3개월(91일)이며, 고정 수량·금리 입찰·다중 가격 입찰 방식으로 진행된다. 1일 제일재경에 따르면, 인민은행은 이달 들어 이미 두 차례 역레포를 진행했다. 5일에는 1조 위안(약 199조 원) 규모 3개월물, 15일에는 6천억 위안(약 119조 원) 규모 6개월물을 시행했다. 10월 만기를 앞둔 8천억 위안 규모의 3개월물 연장 성격과 함께, 5천억 위안 규모의 6개월물 만기도 돌아와 추가 운영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왕칭 오리엔트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0월에는 균등 갱신 가능성이 높다”며 “5개월 연속으로 중기 유동성이 투입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특히 대규모 국채 발행, 계절적 현금 수요 증가, 재정예금 증가 등이 맞물려 자금시장의 경색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밍밍 중신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 역시 “연휴 전 대규모 역레포 발표는 완화적 기조를 분명히 한 것”이라며, “10월 MLF(중기유동성지원창구) 7천억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인민은행이 25일 6000억 위안(약 113조 원) 규모의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조작을 실시한다. 중국 인민은행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올해 5월 지준율 인하 이후 이어진 중기 유동성 확대 기조를 연속 7개월째 유지하는 것이다. MLF는 1년물로 진행되며, 금리 입찰 방식을 통해 자금이 배분된다. 9월 만기가 도래한 3000억 위안을 상쇄하고도 추가로 3000억 위안이 순투입돼 전체적으로 중기 자금 공급이 확대된다. 당국은 같은 달 5일과 15일 각각 1조 위안, 6000억 위안 규모의 매입형 역레포를 통해 3000억 위안을 순투입한 바 있다. 이에 따라 9월 한 달 동안 중기 자금은 꾸준히 순증세를 보였다. 왕칭 동방금성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정부채 발행 확대와 금융기관의 대출 공급 확대라는 재정·통화정책 조율이 맞물린 결과”라며 “중기 자금 공급은 국채 발행의 원활한 소화와 기업·가계의 대출 수요 충족에 기여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최근 주식시장 반등과 장기 금리 상승세 속에서 은행 유동성이 다소 경직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인민은행이 MLF를 확대해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정책 신호를 강화하는 동시에 금융시장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상무부(商务部, Shangwubu)를 포함한 9개 부처가 서비스 소비를 전면적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종합 대책을 내놨다. 이번 문건에는 플랫폼 조성, 고품질 서비스 공급, 새로운 성장 모델, 금융 지원, 통계 시스템 개선 등 5대 분야 19개 세부 조치가 담겼다. 18일 중국 정부에 따르면, 이러한 정책은 내수 확장과 생활 서비스 전환을 뒷받침하는 데 집중돼 있다. 세부 내용을 보면, 우선 전국적인 ‘서비스 소비 시즌’을 정례화해 소비 분위기를 조성하고, 유명 IP와 협업한 융합형 소비 공간을 적극 늘리기로 했다. 인터넷·문화·교육·의료 등 서비스업의 대외 개방 폭을 키우고, 극장·박물관·미술관·과학기술관 같은 공공 인프라 확충에도 투자가 이어진다. 지역 상황에 맞춰 박물관·명승지의 운영시간을 늘리고 예약 절차를 단순화하며, 무예약 입장을 권장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국제적 흐름을 겨냥한 조치도 눈에 띈다. 외국인의 중국 방문을 늘리기 위해 무비자 제도를 확대하고, 우수 인재에게는 5년 복수비자를 발급한다. 중국 유학 브랜드 강화, 전통 음식과 중의약, 문화유산을 활용한 관광 상품 개발도 추진된다. 디지털 전환과 맞물려 온라인·오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미중 간 금융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중국 중앙은행 최고 책임자가 달러 중심 국제 금융질서에 정면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판궁성 인민은행 당서기 겸 행장은 달러화가 지정학적 이해관계 속에서 도구화되고 있다며 국제 통화체제와 국제기구의 구조 개편을 촉구했다. 17일 중국공산당 이론지 추스(求是, Qiushi)에 따르면, 판 행장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상하이협력기구 정상회의에서 제안한 글로벌 거버넌스 구상을 근거로 국제 금융 분야의 변화를 강조했다. 그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달러가 기축통화 지위를 유지해왔으나, 단일 통화 의존은 구조적 불안정을 낳고 위기 상황에서 세계적 파급을 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전쟁이나 제재 상황에서 기축통화가 정치적 무기로 사용되는 현실을 비판했다. 판 행장은 유로화와 위안화 등 다수 통화가 경쟁하는 구도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SDR)과 같은 다자적 기축통화 논의는 현실적 제약이 크다고 보면서도, 기존 국제 결제망이 정치화되는 문제를 막기 위해 다원화된 결제 인프라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IMF를 비롯한 국제 금융기구의 거버넌스 개혁도 요구했다. 주요 기구의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