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곧 발표된다. 이와 맞물려 채권 이자 과세제도와 홍콩 증시 거래 단위 조정도 예고되면서, 다음 주 금융시장에는 복합적인 변수가 동시에 작동할 전망이다. 3일 제일재경에 따르면 국가통계국은 오는 9일 7월 CPI 및 PPI 통계를 발표한다. 카이위안증권은 농산물 도매가격과 CRB 현물지수 등 고빈도 지표 흐름을 분석한 결과, 7월 CPI는 전월 대비 보합, 전년 동기 대비로는 약 -0.5% 수준일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PPI는 전월과 전년 대비 모두 상승 전환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다. 세금 체계에도 변화가 생긴다.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은 8일부터 새로 발행되는 국채, 지방채, 금융채 이자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면세 혜택을 누려왔던 국공채 이자 수익에도 과세가 적용되며, 시장에서는 채권 투자 수익률에 일정 부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홍콩증권거래소는 같은 주 월요일인 5일부터 거래제도 개편 1단계를 시행한다. 이에 따라 주가 1050홍콩달러 구간은 0.05달러에서 0.02달러로 줄어든다. 적용 대상은 일반 주식뿐 아니라 리츠와 워런트
[더지엠뉴스]중국 자본시장 상장을 준비 중인 5개 증권사의 2024년 실적이 일제히 공개됐다. 9일 중국 증권당국 자료에 따르면, 현재 상장을 추진 중인 증권사는 동관증권, 카이위안증권, 보하이증권, 차이신(财信)증권, 화룡증권으로, 이 중 동관과 카이위안은 선전거래소, 보하이·차이신·화룡은 상해거래소 상장을 준비 중이다. 5개사 가운데 4개사가 전년 대비 매출과 순이익이 모두 증가했으며, 차이신증권이 40억4500만 위안의 매출과 10억5400만 위안의 순이익으로 두 항목 모두 선두를 차지했다. 반면, 매출 규모가 가장 작은 화룡증권은 13억2000만 위안으로 5개사 중 최하위를 기록했으며, 순이익도 4억1000만 위안에 그쳤다. 2024년 동관증권은 27억5300만 위안의 매출과 9억2300만 위안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27.7%, 45.4% 증가했다. 이 회사는 2년 연속 실적 하락세를 끊어낸 점이 눈에 띄며, 특히 위탁매매 수수료 수익이 28.7% 증가했고, 투자수익도 64.6% 급증했다. 보하이증권은 매출 24억600만 위안, 순이익 7억4200만 위안으로 각각 증가했고, 카이위안증권은 비록 매출은 6.6% 줄었지만, 투자 수익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