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이 제14차 5개년 계획 기간(2021~2025년) 동안 석유, 천연가스, 우라늄을 비롯한 전략 자원 탐사에서 대규모 성과를 거둔 것으로 확인됐다. 10일 중국 자연자원부에 따르면 쉬다춘(徐大春, Xu Dachun) 부부장은 기자회견에서 “대형 분지의 심부 지층과 해양 심수 구역이 새로운 석유·가스 자원 확보의 핵심지가 됐다”며 “원유 연간 2억 톤, 천연가스 2400억 입방미터 이상 안정적 생산을 뒷받침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또 간쑤(甘肃, Gansu) 징촨과 헤이룽장(黑龙江, Heilongjiang) 자이인 지역에서 초대형 우라늄 광체가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중국은 우라늄 공급 안정성을 크게 높였다고 덧붙였다. 자연자원부는 163종의 광물 자원에 대한 분포와 개발 현황을 조사했으며, 이 과정에서 534개의 대형·중형 유전 및 광산이 새롭게 확인됐다. 그중 10개의 대형 유전, 19개의 대형 가스전이 추가로 발견됐고, 석탄층 메탄가스 심부 탐사에서도 돌파구가 마련됐다. 대표적으로 오르도스 분지는 최근 3000억 입방미터가 넘는 매장량을 새롭게 증명했는데, 이는 지난 10년간 누적치에 필적한다. 리튬, 헬륨, 금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정부가 희토류 자원 전반을 직접 통제하는 강력한 규정을 발표했다. 채굴과 제련 과정은 연간 총량 한도 안에서만 허용되며, 모든 생산품은 추적 시스템을 통해 정부 플랫폼에 매달 보고해야 한다. 22일 중국 공업정보화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자연자원부가 공동으로 내놓은 이번 규정은 국내 희토류 채굴뿐 아니라 수입 광석의 가공까지 포함한다. 당국은 매년 경제 목표, 매장량, 산업 수요, 생태 보호 상황 등을 종합해 관리 목표치를 정하고, 지정된 기업에만 채굴과 제련 자격을 부여한다. 희토류 채굴은 바스트네사이트, 이온 흡착형, 혼합 광석 등에서 자원을 추출하는 과정으로 정의됐으며, 제련·분리 과정은 이를 산화물이나 염류 등 화합물로 정제하는 절차로 명확히 규정됐다. 지정 기업 외에는 일체의 생산 활동이 금지된다. 저우미 중국국제무역경제합작연구원 연구원은 “세계 최대 희토류 보유국으로서 중국은 자원 보호와 산업 육성, 글로벌 경제 기여를 동시에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추적 시스템을 통해 전략 자원의 유출을 원천적으로 막고, 합법적 용도에 한해 수출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 허융첸은 지난달 “전략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에서 크루즈 산업이 빠르게 회복세를 보이며 올해 상반기 크루즈 관광객 수가 전년 대비 40.1% 늘었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여행 수요 회복이 맞물리면서 해양 관광 전반에 걸쳐 뚜렷한 반등세가 관측됐다. 8월 2일 중국 자연자원부 발표에 따르면, 1월부터 6월까지 전국 크루즈 승객 처리량은 전년 동기 대비 40.1% 증가했다. 이 같은 성장은 해양 관광 부문 전체의 실적 상승과도 연결되며, 해당 기간 동안 해양 관광 부문의 부가가치는 7718억 위안(약 1080억 달러)을 기록해 전년보다 8% 증가했다. 중국 당국은 크루즈 산업 진흥을 위해 항만 인프라 현대화, 선사 유치 확대, 국제노선 재개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추진해왔다. 이와 함께 중국 내 중산층의 해외여행 수요 회복과 여름 성수기 도래가 수요 확대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정부는 향후 크루즈 관광을 포함한 해양경제의 전략 산업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연해 지역의 항만 배후산업 육성과 관광·운송 통합 플랫폼 구축 등 구조적 접근도 병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