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팔레스타인 문제를 국제형사재판소로 가져갔다는 이유로 미국이 팔레스타인 당국과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관계자를 제재한 데 대해 중국이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1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이 국제사회의 평화 촉진 노력을 외면하고, 정당한 국제 사법 절차마저 제재 대상으로 삼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며 “공정과 정의에 위배된다”고 밝혔다.
이어 궈 대변인은 “중국은 팔레스타인 국민의 정당한 민족 권리 회복을 지지한다”며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을 포함한 전 영토에 대해 자치정부가 실질적인 통치권을 행사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또 “양국 해법을 바탕으로 한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사회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같은 날 브리핑에서 중국 정부는 세르비아 관리의 코소보 구금 사건, 미국의 대중국 사이버 공격, 신설된 FBI의 뉴질랜드 지부 등 일련의 외교 사안에 대해서도 일관된 입장을 밝혔다.
코소보 당국이 세르비아 정부 코소보 담당 차관을 구금한 것과 관련해선 “모든 당사국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실질적이고 건설적인 대화를 이어가야 한다”며 “일방적 행동은 긴장을 악화시킬 뿐”이라고 말했다.
중국사이버안보협회가 발표한 미국발 사이버 공격 보고서와 관련해서도 언급이 나왔다. 궈 대변인은 “미국이 독일, 한국, 싱가포르, 네덜란드를 중계국으로 삼아 중국 핵심 인프라를 수백 차례 공격했다는 것은 명백한 증거”라며 “중국은 사이버 안보를 위해 필요한 대응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대만 문제에 대한 발언도 이어졌다. 최근 바라과이 정치인의 “대만은 중국의 한 성”이라는 발언을 두고 궈 대변인은 “그동안 유사한 의견을 많이 들었으며, 이는 다수 바라과이 국민의 생각을 반영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바라과이 정부가 이런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올바른 선택을 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광범위한 고율 관세 행정명령을 발효한 데 대해서도 “보호무역주의는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특히 “우회 수출에 대해서도 4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은 중국 수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질문에 대해선 “이미 입장을 밝혔다”며 말을 아꼈다.
또 미 연방수사국(FBI)이 최근 뉴질랜드에 새 사무소를 열고 ‘중국의 영향력 대응’을 언급한 데 대해선 “타국을 겨냥한 협력 구조는 지역 안정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서로 간 신뢰와 협력을 쌓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는 8월 4일부터 15일까지 정례 브리핑을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이 기간에도 서면 질의는 가능하며, 별도 브리핑이 있을 경우 개별 안내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