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아프리카 53개국에 '전면 무관세' 선언

  • 등록 2025.07.14 18:01:11
크게보기

최빈국 이어 범아프리카 대상 확대…내수 확대·소비진작 전략과 맞물려 ‘수입시장 열기’ 가속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 정부가 아프리카 53개국과의 무역에서 전면 무관세 정책을 실시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기존 최빈국 대상 정책을 넘어서는 조치로, 중국의 내수 확대 전략과 글로벌 파트너십 확장 의지가 결합된 상징적 조치다.

 

14일 오전 국무원 신문판공실 정례 브리핑에서 해관총서 대변인 뤼다량은 “중국과 수교한 아프리카 53개국에 대해 100% 세목 제품 무관세를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조치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이미 시행된 ‘최빈국 무관세 혜택’의 확대판이다.

 

뤼다량은 “중국은 세계 최대의 신흥 소비시장으로, 대외개방 확대와 내수 확대 전략이 본격 추진되고 있다”며 “중국 시장을 통해 아프리카 국가들의 성장도 함께 도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상반기 중국 수입 증가율이 다소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대외 불확실성과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이 겹친 결과”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원유, 철광석, 대두 등의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하락했으며, 이 세 품목만으로 수입 증가율을 2.7%포인트 끌어내렸다.

 

그러나 2분기부터는 내수 확장에 따른 수입 회복이 뚜렷하다는 평가도 내놨다. 고급 공작기계와 전자부품 수입이 각각 13.9%, 7.7%포인트 증가했고, 소비재 수입도 식음료, 일용품, 문화오락용 제품 등을 중심으로 반등했다.

 

뤼다량은 “무역에서 수치를 볼 때 단순한 가치뿐 아니라 실물량 추세도 중요하다”고 지적하면서, 실질적인 수입 회복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이런 구조적 회복 흐름 속에서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무역 확대는 중국 시장의 개방성과 포용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라고 강조했다.

 

이번 발표는 단순한 개발도상국 지원 정책을 넘어, 아프리카를 전략적 공급망과 소비시장의 축으로 삼으려는 중국의 경제·외교 구상과도 직결된다.

 

중국은 ‘이구환신(以旧换新)’ 정책을 통해 소비재 교체를 촉진하는 동시에, 외국산 고급소비재 수입을 안정적으로 확대 중이다. 이를 통해 수입 다변화는 물론, 무역 흑자 구조를 점진적으로 조정하는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향후 글로벌 최빈국뿐 아니라 개도국 전반에 대해 유사한 조치를 순차 확대할 가능성도 시사한 바 있다.

김평화 기자 peace@thegmnews.com
ⓒ 더지엠뉴스 & www.thegm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제호 : 더지엠뉴스(thegmnews.com) | 발생소 : 서울시 노원구 한글비석로 396, 106-205 | 발행인·편집인 : 정은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은영 | 사업자등록번호 : 서울, 아55402 | 등록일 : 2024-04-17 | 문의 : thegmnews1@thegmnews.com | 대표전화 : 010-3869-8883 Copyrightⓒ2024 thegmnews.com all right reserved. *더지엠뉴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 또는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