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이 해양 데이터를 노리는 외국 첩보세력의 조직적 침투를 공개하고 강도 높은 경고를 발령했다. 수중 감시장비 회수, 민간단체 위장, 센서 해킹 등 정찰행위 전반을 국가안보 위협으로 규정했다.
23일 중국 국가안전부(国家安全部, Guojia Anquanbu)는 공식 위챗(微信, Weixin)을 통해 “최근 외국 정보기관이 중국 해양데이터에 대한 침투를 가속화하고 있다”며 “해저지형, 수문자료, 원격탐사 정보를 목표로 연안지역 감시 활동을 확대 중”이라고 밝혔다.
국가안전부에 따르면, 일부 외국 민간단체는 공공연구 명목으로 중국 해안선 전역에 해양 관측소를 조밀하게 설치하고, 수년간 전략 해역을 정밀 감시해 왔다. 이들은 정부 협력기구를 가장해 수온, 염분, 해류, 해빙, 해저 지형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해당 정보는 군사시설 배치와 해안방어 계획에 직접 연결되는 고위험 자료다.
또 다른 사례로는 조업 중이던 중국 어선이 회수한 정찰장비가 소개됐다. 이 장비는 외국이 새롭게 개발한 수중 감시장치로, 자동으로 해양 기상정보와 선박 이동정보를 수집하도록 설계돼 있었다. 장비 외형은 일반 수중 센서와 유사했지만 내부에 고성능 데이터 전송 기능과 정찰 모듈이 내장돼 있었다.
국가안전부는 이러한 장비 외에도, 중국이 자체 운영 중인 해양관측 센서 내부에 외국 정보기관이 이른바 ‘게이트웨이’ 혹은 ‘백도어’를 삽입해, 송수신 과정 중 민감한 정보를 빼돌리는 정황도 다수 확인됐다고 밝혔다.
침투 수법은 해저장비 외에도 위성 원격탐사, 항공사진, 고정식 해양 감시체계까지 포함되며, 수집범위 역시 단순 연안에서부터 남중국해(南中国海, Nanzhonggu Hai), 심해구역까지 확대되고 있다. 특히 해저 산맥, 해저분지, 해구에 대한 지도 정보는 군사적 의사결정에 핵심자료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더 높은 경계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중국은 자국 해양 주권을 기반으로 해양강국 전략을 추진 중이며, 관련 데이터는 해양경제뿐 아니라 국가전략 자산으로 분류되고 있다. 국가안전부는 국민 개개인이 해양정보의 안보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의심 정황 발생 시 즉각 당국에 신고해줄 것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