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대외무역의 바로미터로 불리는 제138회 중국수출입박람회(캔톤페어)가 광둥성 광저우에서 열렸다. 전시 규모는 155만㎡에 달하며, 일대일로(一带一路, Belt and Road Initiative) 참여국과의 교역 협력이 핵심 의제로 떠올랐다. 17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이번 행사에는 217개 시장에서 20만7000명이 사전 등록했고, 유럽연합과 미국, 일대일로 국가에서의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1단계 수입 전시회(15~19일)에는 한국, 터키, 이집트,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16개국 124개 기업이 참가해 전체의 60%를 차지했다. 참가업체들은 “혁신 기술과 서비스형 수출”을 앞세워 현지 바이어와 긴밀히 접촉하고 있다. 터키의 한 바이어는 “중국의 혁신력은 매번 놀랍다”며 “COFE+ 커피로봇을 바로 계약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중국 기업들도 일대일로 시장에 맞춘 맞춤형 제품을 선보였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올해 1~9월 산업용 로봇 수출은 전년 대비 54.9% 급증했다. 구이저우조냥키네틱스(贵州詹阳动力, Guizhou Jonyang Kinetics) 관계자는 “전시 현장에서 해외 고객 요구를 파악해 설계부터 서비스까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태국 모델 구인글에 속아 떠난 벨라루스 여성이 미얀마에서 범죄 조직에 이용된 끝에 살해된 것으로 드러났다. 장기적출까지 당한 참혹한 범죄가 동남아 스캠단지 실태를 다시 드러내고 있다. 17일 벨라루스 국영 벨타 통신에 따르면, 민스크 출신 가수 겸 모델 베라 크라브초바는 “태국에서 시간제 모델을 찾는다”는 온라인 제안을 받고 방콕으로 향했다. 현지에 도착한 그는 범죄단체에 납치돼 미얀마 양곤으로 이동됐고, 데이팅 사이트를 이용해 남성들에게 접근해 투자금을 유도하는 ‘로맨스 스캠’ 역할을 강요당했다. 조직은 일정 수익이 발생하지 않자 연락을 끊고 살해했으며, 장기를 적출해 판매한 뒤 시신을 불태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가족에게 50만 달러(약 6억 8천만 원)를 보내면 유해를 돌려주겠다는 협박이 이어졌다. 현지 언론은 같은 루트를 통해 또 다른 여성이 납치됐지만, 외모가 ‘업무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장기 밀매 대상으로 분류됐다가 경찰에 구조됐다고 보도했다. 벨라루스 외교부는 미얀마 당국과 함께 사건 경위를 조사 중이며, 유족이 유골 인도를 위해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동남아 전역에서 확산된 온라인 사기단지는 인신매매, 감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연예인 채널이 조회와 광고 단가의 상단을 장악하면서 수익 분포가 양극으로 벌어지고 있다. 하단에서는 월 100만원도 채우기 어려운 창작자가 적지 않고, 상단에서는 억대 수익자가 빠르게 늘어 구조적 간극을 키우고 있다. 16일 국세청 자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조사에 따르면, 1억원 이상을 번 유튜버는 2023년 4011명으로 집계됐다. 2021년 2449명, 2022년 3359명에서 연속 증가했다. 유명인의 인지도가 초기 유입을 밀어 올리면서 상단 수익 집중이 강화됐다. 블랙핑크 제니가 1000만 구독자를 넘긴 데 이어 아이유의 이지금(IU Official)도 1000만 구독자를 달성해 다이아버튼을 받았다. 다이아버튼급 채널은 신규 업로드 시 단기간에 대규모 조회가 형성되며 광고·협찬 단가가 동반 상승한다. 예능인 유재석이 참여한 뜬뜬은 구독자 280만명 수준에서 다수의 100만뷰 이상 영상을 확보하며 장기 재생 목록을 확장했다. 일부 콘텐츠는 단시간 대화형 포맷으로도 수백만 조회를 기록해 제작 공정 대비 수익 효율이 높은 편으로 분류된다. 반면 하단에서는 월 100만원 미만 수익자가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창작자 다수가 광고 수익 분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화웨이(华为, Huawei)가 자국 기술로만 구성된 인공지능(AI) 인프라를 본격적으로 구축하며 글로벌 AI 시장에서 독자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행보는 미국의 반도체 수출 제한 이후, 중국 내부에서 추진 중인 ‘자립형 AI 생태계’의 핵심 축으로 평가된다. 중국공업정보화부(工业和信息化部, MIIT)에 따르면, 화웨이는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 ‘화웨이 클라우드’(HUAWEI Cloud)를 기반으로 AI 훈련·추론 전용 인프라 구축을 가속화하고 있다.특히 자체 개발한 어센드(昇腾, Ascend) 시리즈 칩과 쿤펑(鲲鹏, Kunpeng) 서버를 중심으로 고성능 연산센터를 확충하고, 대규모 언어모델(LLM) 훈련 효율을 40% 이상 높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프로젝트는 ‘자립형 지능 컴퓨팅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한다. 중국 각 성(省) 단위의 데이터센터와 슈퍼컴퓨팅 허브를 하나의 지능망으로 연결해, 국가 차원의 AI 자원 배분과 연산 협업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이 시스템은 ‘중국형 AI 클라우드 네트워크’로 불리며, AI 서비스의 국산화율을 90% 이상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화웨이 관계자는 “자체 기술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국가이민국(国家移民管理局, NIA)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외국인의 무비자 입국이 약 725만 건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48.3% 급증했다. 16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국가이민국 대변인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3분기 중국 전역의 출입국관리 기관이 총 2013만 명의 외국인을 검사했으며, 이 중 무비자 입국자는 전체 외국인 입국자의 72.2%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외국인에게 발급된 비자 문서는 58만 4천 건에 달했다. 3분기 전체 입출국 인원은 1억7800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9% 증가했다. 이는 중국의 개방 정책과 관광 활성화 조치가 본격적으로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현재 중국은 76개국 국민에게 단독 혹은 상호 무비자 입국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제3국 경유객을 위한 환승 무비자 제도도 55개국으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55개국 시민은 중국을 경유해 최대 10일까지 비자 없이 체류할 수 있다. 신화통신(新华社, Xinhua)은 보도에서 “국경절과 중추절이 겹친 8일 연휴 기간 동안 비자 완화 조치와 다양한 문화·관광 행사가 맞물리며 중국의 인바운드 관광이 급격히 성장했다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노태우 전 대통령의 아들 노재헌이 주중 한국대사로 공식 부임했다. 16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한국 외교부는 이날 노재헌이 신임 주중대사로 임명됐다고 밝혔다. 중국 주한대사 다이빙(戴兵, Dai Bing)은 전날 자신의 공식 X 계정을 통해 노재헌의 환송식에 참석했다고 전하며 “노 대사가 재임 기간 중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키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이번 인사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주중대사 임명으로, 지난 1월 윤석열 정부 시절 정재호 전 대사가 임기를 마친 이후 약 9개월 동안 공석이던 자리를 채우게 됐다. 노재헌은 현재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을 맡고 있으며, 정부와 민간을 잇는 다양한 한중 교류 사업을 주도해 왔다. 한국 외교부는 “노재헌 대사는 한중 관계의 연속성과 미래지향적 협력을 동시에 추진할 적임자”라며 “문화, 청년, 기업 간 협력 확대를 통해 양국 간 신뢰 회복의 가교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 대사는 지난 8월 말 특별 대통령 특사단 일원으로 베이징을 방문해 양국 고위 인사들과 만난 바 있다. 그는 “양국이 정치적 갈등을 넘어 문화적 상호이해를 확대해야 한다”며, “한중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차이나데일리 | 간쑤(甘肃, Gansu)성 둔황(敦煌, Dunhuang)은 고대 실크로드에서 동서 문명이 교차하던 중심지로, 생생한 불교 벽화와 조각이 남아 있는 모가오굴(莫高窟, Mogao Grottoes)이 그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이제 둔황은 다시 한번 세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수천 년의 문화유산을 토대로,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도시들이 협력하고 이해를 넓히는 장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13일 열린 ‘2025 글로벌 시장 포럼·둔황’에서 명확히 드러났다. 1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이번 포럼은 11일부터 13일까지 사흘 동안 둔황에서 개최됐다. 주제는 ‘문명의 교향, 조화의 공명(A Symphony of Civilizations, Resonance in Harmony)’으로, 글로벌 문명 이니셔티브(Global Civilization Initiative)를 실행하고 국제 소통 체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행사에는 중국과 해외에서 온 200여 명의 인사가 참석했으며, 이 중에는 9개국 정부 대표단과 문화기관 관계자 23명이 포함됐다. 둔황 아카데미의 쑤보민 원장은 “수년간 우리는 고대 벽화, 조각,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독일 프랑크푸르트 슈타이겐베르거 아이콘 호텔에서 ‘시진핑: 중국의 통치(Governance of China)’ 제5권 영문판 홍보 행사가 열리며, 중국식 현대화와 발전 모델을 둘러싼 토론이 뜨겁게 이어졌다. 좌석 120개가 모두 채워진 행사장은 중국의 거버넌스와 발전 경로를 이해하려는 관객들로 가득했다. 16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제77회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개막일과 맞물려 진행됐다. 현장에는 시리즈 1~5권 외국어판이 전시돼 국제 독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벨기에 브뤼셀의 ‘디플로매틱 월드 인스티튜트’ 공동창립자 디터 브록마이어는 “이 책은 중국의 비전과 발전 궤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라며 “특히 혁신과 기술 발전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고 싶다”고 말했다. ‘시진핑: 중국의 통치’ 제5권에는 2022년 5월 27일부터 2024년 12월 20일까지의 연설과 글 91편이 수록됐으며, 총 18개 주제로 구성됐다. 이 책은 시진핑을 핵심으로 한 중국공산당이 복잡한 국제 정세 속에서도 현대적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이끌어온 과정을 기록한다. 프랑크푸르트 공자학원 크리스티나 베룸왕 원장은 “이 책은 중국을 이해하는 지적 열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이 프랑스 대통령 외교고문 에마뉘엘 본과 항저우(杭州, Hangzhou)에서 열린 제27차 중·프 전략대화를 공동 주재했다. 양국은 고위급 교류 확대와 함께 실질 협력, 다자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16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이 위원은 양국 정상의 전략적 지도 아래 지난 1년간 중·프 관계가 새로운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 정치, 경제, 인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가 긴밀히 이어졌으며, 국제무대에서도 협력이 확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왕이는 중·프가 모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자 독립적 대국으로서, 장기적 안목에서 안정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국이 전통적 협력 분야를 넘어 신흥산업과 지방 차원의 협력 잠재력을 적극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유엔을 중심으로 한 다자 틀 안에서 프랑스와의 조율과 상호지지를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본 고문은 프랑스가 ‘하나의 중국’ 원칙을 확고히 지지한다고 재확인하며, 경제·무역, 민용 핵에너지, 과학기술, 신에너지 분야 등에서 상호호혜의 협력을 강화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한 프랑스는 무역전쟁과 진영 대립을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우크라이나의 암호화폐 투자자 겸 유튜버 콘스탄틴 갈리치가 키이우 도심에 세워둔 자신의 람보르기니 차량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비트코인이 최고가 대비 급락하고 이더리움도 동반 하락하는 과정에서 갈리치가 거액 손실을 겪었다는 정황이 확인됐다. 지난 11일 타임스오브인디아에 따르면, 현지 경찰은 갈리치가 총상을 입은 상태로 발견됐고 차량 내부에서 본인 소유로 추정되는 총기를 회수했다. 경찰은 가족·지인의 진술과 디지털 포렌식을 확보해 사망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현지 보도들은 갈리치가 최근의 급격한 가격 변동으로 최소 3천만 달러(약 4,270억 원)에 이르는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했다. 하락 구간에서 강제 청산이 연쇄적으로 발생하며 파생상품 포지션의 위험 노출이 확대됐다는 분석이 덧붙여졌다. 시장 급변 동인은 대외 불확실성의 증대로 요약됐고, 단기간 유동성 경색에 취약한 레버리지 거래 구조가 손실을 키웠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현지 온라인 커뮤니티와 투자자 채널에는 심리적 부담을 호소하는 메시지가 다수 공유됐고, 일부 거래소의 마진 규칙·청산 시스템을 둘러싼 논란이 불거졌다. 가격 변동 폭 확대 구간에서 리스크 한도, 증거금 관리,